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sion and the state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perinatal women
Objectiv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sion and the state of anxiety and depression of perinatal women and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s for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in mental treatment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perinatal women.
Methods: 309 perinatal women collected by cluster random sampling were assessed with self-made general information questionnaire,Self-Rating Anxiety Scale (SAS),Self-Rating Depression Scale (SDS) and Cognitive Fusion Questionnaire (CFQ) in predelivcry period and 3-7 days after childbirth respectively.
The effect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불안장애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CBT와 ACT를 실시하고 그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사회불안장애 진단을 받은 여자 대학생 21명으로 CBT집단, ACT집단, 통제집단에 각각 7명씩 무선 배정되었다. CBT 프로그램과 ACT 프로그램은 각각 총 10회기로 주 2회 매 회기 120분씩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을 위해 사전, 사후 및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실시 후 CBT집단의 인지적 특성(역기능적 사고, 사회적 상호작용 자기진술), 정서적 특성(수행불안, 사회적 상호작용불안) 및 행동적 특성(자기주장행동)은 모두 유의한 변화를 나타냈다. ACT집단의 경우, 긍정적인 사회적 상호작용 자기진술을 제외한 인지적 특성, 정서적 특성(수행불안), 행동적 특성 및 마음챙김 특성(마음챙김, 수용태도)은 유의한 변화를 나타낸 반면, 정서적 특성 중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은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프로그램 실시 3개월 후에도 CBT집단과 ACT집단의 변화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또한 ACT집단의 경우, 사전-사후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이 사전-추후검사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Interpersonal Problems, Mindfulness, and Therapy Outcome in an Acceptance-Based Behavior Therapy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Objective: To better understand the role interpersonal problems play in response to two treatments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 an acceptance-based behavior therapy (ABBT) and applied relaxation (AR), and to examine how the development of mindfulness may be related to change in interpersonal problems over treatment and at follow-up.
Method: Eighty-one individuals diagnosed with GAD (65.4% female, 80.2% identified as white, average age 32.92) were randomized to receive 16 sessions of either ABBT or AR. GAD severity, interpersonal problems, and mindfulness were measured at pre-treatment, post-treatment, 6-month follow-up, and 12-month follow-up.
The effects of an acceptance-based treatment and trait speech anxiety on anxiety responses to a public-speaking situation
본 연구에서는 일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발표상황에 대한 불안반응들을 감소시키는데 있어 수용처치가 의사소통 교육에 비해 더 효과적인지, 그리고 이러한 효과가 참가자들의 특질발표불안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사전 검사를 작성한 대학생들 중에서 실험에 동의한 76명이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수용처치조건과 교육조건에 38명씩 동일한 수의 참가자들이 무선 할당하였다. 실험 참가자들에게 즉석에서 발표를 요청하고 준비토록 함으로써 발표불안을 유도한 후, 각자 배정된 조건에 상응하는 처치를 받았다. 분석 결과, 예상대로, 치료 직후에 측정된 참가자들의 주관적 불안반응,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에 대한 처치조건의 주효과가 유의하였는데, 이러한 불안측정치들이 치료 직후에 교육조건에 비해 수용처치조건에서 더 크게 감소함을 나타낸다. 또한, 확장기 혈압에 대해서는 처치조건과 특질발표불안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였는데, 교육조건과 달리 수용조건에서는 특질발표불안이 높을수록 확장기 혈압이 더 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발표 직후에 측정된 종속변인들 어떤 것에 대해서도 처치조건의 주효과 및 처치조건과 특질발표불안의 상호작용효과 둘 다 유의하지 않았으나, 특질발표불안의 주효과는 유의하였는데 특질발표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수행불안 행동빈도와 안전행동의 정도가 더 크다는 점을 나타낸다.
Effectiveness of Group Training Based o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on Anxiety and Depression of Women with Breast Cancer
Background: Breast cancer is the most common cancer in women that as a sudden event has profound effects on all aspects of patients’ lives. Psychosocial interventions may play important roles in reducing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breast-cancer survivors. Therefore, group training based o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may help women to cope better with their condition, and decrease their anxiety and depression.
The Effectiveness of Group-Based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on Pain-Related Anxiety, Acceptance of Pain and Pain Intensity in Patients with Chronic Pain
Background: Chronic pain is one of the most current multi-dimensional problems which its
management requires medical and psychological intervention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group-based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on pain-related anxiety, acceptance
of pain and pain intensity in patients with chronic pain.
Perceptions of two therapeutic approaches for palliative care patients experiencing death anxiety
Objective:
Evidenced-based psychotherapies are not well researched for palliative care patients experiencing unrelenting anxiety about dying, even less research is focused on young adult palliative care patients with death anxie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regarding potential clients' perceptions of using evidenced based treatments with dying populations who are experiencing death anxiety.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on social avoidance and self-focused attention of college student with speech anxiety
본 연구에서는 발표불안을 가지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용 전념 치료(ACT) 프로그램이 사회적 회피, 자기-초점적 주의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북 지역에 소재하고 대학교 400명 대학생들에게 사전 검사에서 사회적 회피 및 불안, 자기-초점적 주의, 발표불안 척도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발표불안이 있는 대학생 22명을 참가자로 선정하여 수용 전념 치료 프로그램 집단과 대기통제 집단에 11명으로 무선할당 하였다. 수용 전념 치료 프로그램은 총 8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 검사가 실시되었고 1개월 후 추적 검사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수용 전념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가자들은 대기통제집단보다 사회적 회피, 자기-초점적 주의, 발표불안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그 효과가 추적검사까지 계속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on interpersonal anxiety, stress coping style, and social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with interpersonal anxiety
본 연구는 수용전념치료(ACT)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대인불안, 스트레스 대처 방식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전북지역 소재 대학교의 300명 대학생들에게 대인불안 척도(IAS), 대처방식 척도, 사회적 자기효능감 척도(SSES) 및 수용 행동 질문지(AAQ-Ⅱ)를 실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대학생 18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여 치료 집단에 9명, 통제집단에 9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수용전념치료(ACT) 프로그램은 주 2회씩 총 8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 조사가 실시되었고 5주 후 추적 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수용전념치료(ACT)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대인불안과 정서중심 대처 방식이 더 감소되었고, 문제중심 대처방식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더 향상되었으며, 추적 조사까지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Effects of Mindfulness and Acceptance-Oriented Programs on Attachment Anxiety and Social Anxiety of Immersive Attachment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마음챙김과 수용 중심 프로그램이 몰두형 애착 대학생들의 애착 불안, 사회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전북지역 남녀 대학생들에게 성인애착척도, 사회불안척도를 실시하여, 불안정애착에 해당하는 사람들 중 몰두형 애착에 해당하고, 사회불안에서 70점 이상에 해당하는 학생들 16명이 본 연구에 참가하였다. 최종 선발된 16명을 마음챙김과 수용 중심 프로그램 집단에 8명, 통제 집단에 8명씩 배정하였다. 마음챙김과 수용 중심 프로그램은 총 9회기로 실시되었고,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검사가 실시되었으며, 10주 후 추적검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마음챙김과 수용 중심 프로그램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애착불안, 사회불안 수준에 있어서 유의한 감소가 있었고, 추적검사까지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