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asures in Korean (조선말, 한국어)
- AAQ-II - Korean
- AAQ-OC - Korean
- AAQ-S - Korean
- AFQ-Y - Korean
- ASQ - Korean
- BEAQ - Korean
Understanding, Using, and Creating Metaphors with Relational Frame Perspectives in Acceptance–Commitment Therap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전북대학교 (2015). 수용 전념 치료 (ACT)에서 관계 틀 관점으로 은유를 이해하고, 활용하고, 창조하기.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2), 371 - 389. [Son, C.N. (2015). Understanding, Using, and Creating Metaphors with Relational Frame Perspectives in Acceptance–Commitment Therap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2), 371 - 389.] DOI: 10.17315/kjhp.2015.20.2.001
AFQ-Y8 - Korean Validation
Seong-Hye Choi (아주대학교), Eun-Jung Kim(아주대학교) (2016) Psychological Inflexibility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Avoidance and Fusion Questionnaire for Youth-Eight Item Type (K-AFQ-Y8).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5(3), 600 - 614.
Choi Seong-Hye, Kim Eun-Jeong (2015) Assessing Psychological Inflexibility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Avoidance and Fusion Questionnaire for Youth(K-AFQ-Y). Con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15(3), 595 - 617.
PAQ - Korean Adaptation
Seung-Min Kim(서울여자대학교), Kyung Park(서울여자대학교) (2017) Korean Adaptation of the Parental Acceptance Questionnaire(K-4-PAQ).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22 No.3, pages 531 - 549.
Kim, D.-H., Kim, H.-J., & An. 2019
요 약 본 연구는 인지행동치료(Cognitve Behavioral Therapy: CBT)분야 학술지에서 나타난 키워드의 출현패턴을
조사하여 국내 CBT 연구의 지식구조를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국내·외에서 수행된 CBT 연구를 비교하고자 ‘인지
행동치료’에서 출판된 논문 234편(2008-2019)과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에서 출판된 논문 2,316편
(1977-2019)이 수집되었다. 자료는 NetMiner 4.3 프로그램으로 분석되었으며 동시출현단어 분석은 코사인 유사도
행렬을 산출하고, 네트워크를 시각화하는 절차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국내 CBT연구자들의 주요 관심사가
식별되었고, 국내 CBT 지식구조는 9개의 연구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척도 타당화’, ‘완벽주의와 속박감’, ‘조현병 환자
Knowledge structure of domestic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research: analysis of co-expression 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terns of the keywords in journals in the field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to identify the knowledge structure of CBT studies in Korea. To compare CBT studies from Korea and abroad, 234 articles (2008-2019) published on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and 2,316 articles (1977-2019) published o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were collect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NetMiner 4.3.
Jung, La, & Son. 2017
This study looked into the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ACT) program on the premenstrual symptoms, attitudes toward menstruation and perceived stress, in females in their 20's suffering from premenstrual syndrome(PMS). Among the 263 students from 3~4 year universities, 21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7 were assigned to the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ACT) group, 7 were assigned to the cognitive behavior therapy(CBT) group, and 7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Choi, D. & Kim, S. (2017). 정신건강문제를 중재한 수용전념치료 연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An Integrative Review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for Mental Health Problem].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5(2), 75-85.
본 연구는 국내 수용전념치료 연구를 통합적으로 고찰하여 치료의 효과성과 임상적 유용성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향후 연구 방향과 효과적인 프로그램 구성 및 전략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특성과 연구 목적에 따라 수용전념치료의 6가지 핵심 원리를 유연하게 구성하는 것이 중요전략임을 확인하였다. 즉, 불안은 기꺼이 경험하기와 인지적 탈융합을 강조하고, 우울은 자기자비와 자기수용에 초점을 두며, 중독은 비효과적인 대처 감소를 위해 전념행동에 중점을 두고, PTSD는 현재에 존재하기에 역점을 두어 중재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수용전념치료는 저항적이고 만성화 경향이 있는 정신건강문제에 효과적인 중재가 될 수 있으므로, 조현병이나 양극성 장애를 위한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