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 G. & Shin, H. (2022). 수용전념치료(ACT)가 취업스트레스, 자기효능감과 경험회피 및 우울, 불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on Job-Seeking Stress, Self-Efficacy, Experiential Avoidance, Depression, and Anxiety.] 스트레스연구 [Stress], 30(4), 277-287.
본 연구는 수용전념치료(ACT)가 취업스트레스가 심한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자기효능감, 경험회피,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했다. 취업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대학생들을 처치집단 12명과 대기통제집단 10명으로 무선할당하였다. ACT 프로그램은 주 2회, 한 회기당 120분씩, 총 6회기로 실시되었으며, 두 집단에게 사전, 사후, 4주 후 추후검사가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처치집단에서 모든 변인에 대해 긍정적인 유의미한 효과가 확인되었고, 이는 모두 4주 후 추후검사까지 유지되었다. 반면 대기통제집단에서는 취업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서 일시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되었지만 유지되지 못하였고, 나머지 변인에 대해서는 변화가 확인되지 않았다.
Lee, S.W., Choi, M., & Lee, S.J. (2022). 국내 일대학병원에서 강박장애 집단 기반 수용전념치료의 효과 검증 [Effectiveness of a Group-Based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for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in a University Hospital.]. 생물치료정신의학, 28(1), 49-56.
Objectives:Acceptance Commitment Therapy (ACT) was recently introduced to the treatment of the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CD). Major core components of AC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OCD treatment. Cognitive defusion can make to reduce anxiety related to obsessional thought by observing and flowing the thoughts in a non-judgemental manner. Value-based commitment can be helpful to confront situations rather than experiential avoidance.
Vulnerability, depression, and anxiety: A preliminary comparison of CBT and ACT interventions
본 연구에서는 우울증이나 불안장애의 치료법으로 알려진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와 수용전념치료(Acceptance & Commitment Therapy: ACT)가 각 장애의 취약성 요인인 반추와 걱정을 낮추고 회복력 요인인 수용을 증진시키는지를 검증하였다. 반추와 걱정 수준이 높아 우울증이나 불안장애에 취약하다고 여겨지는 13명을 무선으로 CBT와 ACT에 배정하여 매주 90분 총 8회기 동안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전후에 반추적 반응양식 척도, 펜스테이트 걱정질문지, 상태 불안검사, Beck 우울검사, 수용 및 행동질문지(AAQ), 역기능적 태도 척도(DAS), 자동적 사고 질문지(ATQ)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CBT와 ACT는 모두 우울과 불안의 취약 요인인 반추와 걱정사고를 감소 시켰고, 회복력 요인인 상위인지적 수용 정도를 증가시켰다.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acceptance commitment counseling program and the effects of the program for the career decision and acception of career uncertainty for high school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진로 불확실성 수용과 진로의사결정을 위한 수용전념 상담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프로그램 개발은 김창대(2011)의 프로그램 개발 모형 단계에 근거하여 목표수립, 프로그램의 구성, 예비연구, 프로그램의 실시와 평가의 과정을 거쳐 개발하였다. 예비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전문가 검토를 통해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였다. 개발된 진로 불확실성 수용과 진로결정을 위한 수용전념 상담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 수용전념치료 이론의 6가지 핵심과정이 포함되도록 구성하였으며, 이에따라 회기별 활동목표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소재 일반계 여자고등학교 1학년 학생 중 참여를 희망하는 24명 중 12명을 실험집단으로, 12명은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4주 동안 주 2회(총8회) 실시한 결과, 수용전념 상담프로그램은 부정적 내적 경험의 수용과 진로결정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on social anxiety, rejection sensitivity and acceptance of social anxiety disorder-prone colleg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on social anxiety, rejection sensitivity, and acceptance of social anxiety disorder-prone college students. A total of 400 students of four-year colleges who lived in Chonbuk province completed the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SADS). The 16 participants who were selected by the scale were randomly assigned to 8 in the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group and 8 in the control group.
Effects of ACT on smartphone addiction level, self-control, and anxiety of college students with smartphone addi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ACT on smartphone addiction level, self-control, and anxiety of college students with smartphone addiction. 320 college students who lived in Chonbuk completed SAPS-A. 42 students who gained more than 40 points score by SAPS-A completed SCRS, STAI, and AAQ-16 as pre-treatment. Final 18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9 in the ACT group and 9 in control group.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on Symptoms of Worry, Anxiety, Tolerance of Uncertainty, Emotional Regulation, and Experiential Avoidance in University Students with Excessive Worry
본 연구의 목적은 수용-전념 치료 (ACT)가 과도하게 걱정하는 대학생들의 걱정, 상태 및 특성불안,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정서조절 및 경험회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4년제 대학교에 다니고 있는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펜실베니아 걱정증상 질문지, Spielberger 상태-특성불안척도,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 한국판 정서 조절 곤란척도, 수용-행동 질문지를실시하였고, 이 중 걱정과 불안 수준이 높은 학생들을 선별하였다. 무선표집을 통하여 선별된 학생들과 사전면담을 실시하였고, 연구참여에 동의한 학생들을 수용-전념치료집단에 8명, 대기목록통제집단에 8명 배정하였다. 수용-전념치료 집단 참가자들은 주 2회, 총 10회의 치료를 받았으며, 치료 후, 6주 후 추적 조사를 진행하였다. 대기목록 통제집단 참가자들은 수용-전념 치료집단 치료 후, 6주 후 추적조사를 진행하였고, 추적 조사가 마무리 된 후 치료집단과 동일한 치료를 받았다.
The effect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불안장애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CBT와 ACT를 실시하고 그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사회불안장애 진단을 받은 여자 대학생 21명으로 CBT집단, ACT집단, 통제집단에 각각 7명씩 무선 배정되었다. CBT 프로그램과 ACT 프로그램은 각각 총 10회기로 주 2회 매 회기 120분씩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을 위해 사전, 사후 및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실시 후 CBT집단의 인지적 특성(역기능적 사고, 사회적 상호작용 자기진술), 정서적 특성(수행불안, 사회적 상호작용불안) 및 행동적 특성(자기주장행동)은 모두 유의한 변화를 나타냈다.
The effects of an acceptance-based treatment and trait speech anxiety on anxiety responses to a public-speaking situation
본 연구에서는 일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발표상황에 대한 불안반응들을 감소시키는데 있어 수용처치가 의사소통 교육에 비해 더 효과적인지, 그리고 이러한 효과가 참가자들의 특질발표불안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사전 검사를 작성한 대학생들 중에서 실험에 동의한 76명이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수용처치조건과 교육조건에 38명씩 동일한 수의 참가자들이 무선 할당하였다. 실험 참가자들에게 즉석에서 발표를 요청하고 준비토록 함으로써 발표불안을 유도한 후, 각자 배정된 조건에 상응하는 처치를 받았다. 분석 결과, 예상대로, 치료 직후에 측정된 참가자들의 주관적 불안반응,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에 대한 처치조건의 주효과가 유의하였는데, 이러한 불안측정치들이 치료 직후에 교육조건에 비해 수용처치조건에서 더 크게 감소함을 나타낸다.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of college students with interpersonal trauma
본 연구에서는 수용 위념 치료(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프로그램이 대인 외상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외상후 스트뜈스 증상과 복합 외상후 스트뜈스 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대학생들에게 외상후 진단 척도(Posttraumatic Stress Diagnostic Scale),복합 외상후 스트뜈스 증상 척도,외상후 인지 질문지(Post Traumatic Cognitions Inventory),정서조윈 곤란척도(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수용-행동 질문지(Acceptance & Action Questionnaire)를 실시하씀다.총24명의 대학생(치료집단12명,통제집단12명)이 참여하씀고,수용 위념 치료(ACT)프로그램은 주2회씩 총8회에 걸쳐 진행되었다.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 검사가 실시되었고8주 후 추윁 검사가 이루어졌다.그 결과,수용 위념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