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조선말, 한국어 (Korean)

Title
Effects of Acceptance–Commitment Therapy (ACT) on binge eating behavior, experiential avoida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prone to binge eating disorder
Publication

수용 전념 치료 프로그램이 폭식장애 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폭식행동, 경험회피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J지역 내 대학생을 250명 남녀 학생들에게 폭식척도(BES), 수용행동질문지(AAQ-16), 심리적 안녕감 척도(PWBS)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폭식장애 경향이있는 대학생 14명을 참가자로 선정하여 치료 집단에 7명, 통제집단에 7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수용 전념 치료 프로그램은 주 2회씩 총 8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 조사가실시되었고 8주 후 추적 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수용 전념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통제집단보다 폭식행동과 경험회피가 유의하게 더 감소되었고, 심리적 안녕감은 유의하게 더 증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Effects of Acceptance-Commitment Therapy (ACT) on Mental Health of In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Publication

본 연구는 알코올 의존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용 전념 치료(ACT)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원치 않는 사적 사건을 경험하지 않으려는 경향성인 ‘경험 회피’가 알코올 사용 및 관련 병리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이론에 초점을 맞추어, 수용과 인지적 탈융합, 맥락으로서의 자기, 현재에 존재하기, 가치, 전념적 행동의 요소를 가지며 심리적 유연성을 기를 수 있게 하는 수용 전념 치료(ACT)를 알코올 의존환자들에게 적용하여, 수용과 전념의 증가뿐만 아니라 정서에서의 변화, 자존감, 삶의 만족도에의 영향, 알코올 사용에서의 변화 역시 기대하였다. 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고 있는 알코올 의존 환자들 중 수용 전념 치료(ACT)집단에 12명, 통제 집단에 12명 할당하였다. 수용 전념 치료(ACT)프로그램은 8회기로, 각 회기는 90분으로 진행되었다. 수용 전념 치료(ACT) 집단과 통제 집단의 사전 및 사후 평가 점수의 평균을 비교하는 반복 측정 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on social avoidance and self-focused attention of college student with speech anxiety
Publication

본 연구에서는 발표불안을 가지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용 전념 치료(ACT) 프로그램이 사회적 회피, 자기-초점적 주의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북 지역에 소재하고 대학교 400명 대학생들에게 사전 검사에서 사회적 회피 및 불안, 자기-초점적 주의, 발표불안 척도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발표불안이 있는 대학생 22명을 참가자로 선정하여 수용 전념 치료 프로그램 집단과 대기통제 집단에 11명으로 무선할당 하였다. 수용 전념 치료 프로그램은 총 8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 검사가 실시되었고 1개월 후 추적 검사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수용 전념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가자들은 대기통제집단보다 사회적 회피, 자기-초점적 주의, 발표불안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그 효과가 추적검사까지 계속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on emotional clarity, avoidant emotion regulation, and study-related stress of adolescent with emotion dysregulation
Publication

수용 전념 치료(ACT)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 정서인식명확성, 회피적 정서조절 및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전북지역 소재 여자고등학교의 359명 학생들에게 한국판 정서조절곤란 척도(K-DERS), 특질 상위-기분척도(TMMS), 정서조절양식 체크리스트, 학업스트레스 척도, 수용-행동 질문지를 실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고등학생 16명을 참가자로 선정하여 치료집단에 8명, 대기통제집단에 8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수용 전념 치료(ACT)프로그램은 주 2회씩 총 8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 검사가 실시되었고 4주 후 추적 검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수용 전념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대기 통제 집단보다 정서조절곤란, 회피정서조절이 감소되었고, 정서인식명확성은 향상되었으며, 그 수준은 추적 검사까지 유지되었다. 하지만 학업스트레스는 유의한 수준의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on interpersonal anxiety, stress coping style, and social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with interpersonal anxiety
Publication

본 연구는 수용전념치료(ACT)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대인불안, 스트레스 대처 방식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전북지역 소재 대학교의 300명 대학생들에게 대인불안 척도(IAS), 대처방식 척도, 사회적 자기효능감 척도(SSES) 및 수용 행동 질문지(AAQ-Ⅱ)를 실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대학생 18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여 치료 집단에 9명, 통제집단에 9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수용전념치료(ACT) 프로그램은 주 2회씩 총 8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 조사가 실시되었고 5주 후 추적 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수용전념치료(ACT)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대인불안과 정서중심 대처 방식이 더 감소되었고, 문제중심 대처방식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더 향상되었으며, 추적 조사까지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effect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of low-income children
Publication

본 연구는 저소득층 아동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수용전념치료를 저소득층 아동에 적용하여 실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에 따라 ‘ㄷ’시 소재의 ‘ㅂ’청소년문화의집 저소득 초등학교 5학년 아동 36명을 수용전념치료집단에 12명, 인지행동치료집단에 12명, 통제집단에 12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수용전념치료집단에게는 수용전념치료를 2010년 10월 7일부터 2010년 11월 25일까지 매주 50분씩 8회기 실시하였다. 인지행동치료집단에게는 인지행동치료를 동일시기에 50분씩 8회기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실시에 따른 처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 실시 직후, 실시 한 달 뒤 즉, 세 번에 걸쳐 아동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용전념치료는 저소득층 아동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고 할 수 있으며 수용전념치료에 의한 대인관계 스트레스 감소효과는 추후에도 지속된다고 할 수 있다.…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on problem drinking behavior, alcohol expectancy, and perceived stress of the college students with problem drinking
Publication

수용 전념 치료(ACT)프로그램이 문제 음주 대학생의 문제 음주 행동, 알코올 기대 및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전북지역 소재 대학교 473명의 대학생에게 알코올 사용 장애 척도 - 한국판(AUDIT-K), 문제음주 선별 검사(PDST), 알코올 기대 척도(AES),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SS)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문제 음주 대학생 14명을 참가자로 선정하여 치료 집단에 7명, 통제집단에 7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수용 전념 치료(ACT) 프로그램은 주 2회씩 총 8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 조사가 실시되었고 4주 후 추적 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수용 전념 치료(ACT)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알코올 사용, 문제음주 행동 및 긍정적 기대가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추적 조사까지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The Effects of Mindfulness and Acceptance-Oriented Programs on Attachment Anxiety and Social Anxiety of Immersive Attachment College Students
Publication

본 연구는 마음챙김과 수용 중심 프로그램이 몰두형 애착 대학생들의 애착 불안, 사회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전북지역 남녀 대학생들에게 성인애착척도, 사회불안척도를 실시하여, 불안정애착에 해당하는 사람들 중 몰두형 애착에 해당하고, 사회불안에서 70점 이상에 해당하는 학생들 16명이 본 연구에 참가하였다. 최종 선발된 16명을 마음챙김과 수용 중심 프로그램 집단에 8명, 통제 집단에 8명씩 배정하였다. 마음챙김과 수용 중심 프로그램은 총 9회기로 실시되었고,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검사가 실시되었으며, 10주 후 추적검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마음챙김과 수용 중심 프로그램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애착불안, 사회불안 수준에 있어서 유의한 감소가 있었고, 추적검사까지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Effects of Acceptance-Dedicated Group Program on Psychological Acceptance,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of Depressed University Students
Publication

본 연구에서는 수용-전념 집단프로그램이 우울한 대학생의 심리적 수용, 심리적 안녕감, 우울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광역시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로, 우울척도와 자살생각 척도를 실시하여 높은 점수를 받아 선정되었으며, 수용-전념 치료집단 9명, 비교집단 9명이었다. 치료집단은 총 8회기 수용-전념 집단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프로그램 전후에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에게도 동일한 기간에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비모수통계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치료집단 참여자들의 수용행동과 심리적 안녕감 점수는 사전에 비해 사후에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우울 및 자살생각 점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반면, 비교집단 참여자들의 사전-사후 점수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The Effects of Acceptance-Commitment Group Therapy on College Students' Speech Anxiety -Based on Cognitive Defusion Techniques
Publication

본 연구는 발표불안이 높은 대학생들에게 수용전념 집단치료(Acceptance-Commitment Group Therapy)를 실시한 뒤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집단치료 프로그램은 경험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고 기술하기, 생각을 대상화․객체화하기, 경험에 이름 붙이기, 평가(evaluation)와 기술(description) 구별하기, 생각을 다양하게 소리내기 등의 인지적 탈융합(Cognitive Defusion) 기법을 주로 사용하여 역기능적 인지의 영향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행동을 회피하지 않고 실천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총 8회기로 진행되었다. 발표불안이 높은 최종 38명(치료집단 19명, 통제집단 19명)의 대학생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치료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발표불안이 유의하게 낮아졌고, 발표효능감은 유의하게 높아졌으며, 발표행동 회피는 유의하게 낮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