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an ACT program based on lovingkindness meditation for depressive students
본 연구는 우울경향이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우울감 개선 및 재발 방지를 위한 자애명상 기반 수용전념치료(ACTL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ACT의 핵심요소를 토대로 Germer(2009)의 자애명상과 재양육 요소를 통합하여, 총 8회기 프로그램으로 새롭게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378명 중 CES-D에서 우울로 판정되고 연구에 동의한 28명이다. 이들은 프로그램의 실험집단과 1회 심리교육의 통제집단으로 무선 할당되었고, 프로그램 전후 실험연구에 참가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사후 자기보고 측정치에서 우울은 감소하고, 자기자비와 수용행동, 마음챙김, 자아존중감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의 자율성과 개인 성장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프로그램이 객관적으로도 우울 재발 방지에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우울 자극에 따른 부정 정서의 활성화 정도를 뇌전도(EEG)로 측정하였다.
The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on emotional identification,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negative belief of university students with an experience of childhood emotional abuse
본 연구는 수용-전념 치료 프로그램이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정서인식과 표현, 정서표현갈등 및 부정적 신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에는 서울 소재 D여자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중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이 있는 18명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9명씩 무선배정 되었다. 수용-전념 치료 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 구성되었고, 매 회기 90분씩 실시되었으며,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사전․사후평가가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수용-전념 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에서는 정서인식과 정서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정서 표현 갈등과 부정적 신념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통제집단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수용에 기초한 접근이 정서적 학대 경험자의 정서인식을 향상시키고 정서표현에 대한 갈등과 부정적 신념을 감소시켜 정서표현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o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fear of negative evaluation, experiential avoidance, and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with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본 연구는 수용 전념 치료(ACT) 프로그램이 평가염려 완벽주의적 대학생들의 평가염려 완벽주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경험 회피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전북지역 소재 대학교의 400명 대학생들에게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MPS-F),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MPS-H),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 수용-행동질문지,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실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대학생 18명을 참가자로 선정하여 치료집단에 9명, 대기통제집단에 9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수용 전념 치료(ACT)프로그램은 주 2회씩 총 8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 검사가 실시되었고 6주 후 추적 검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수용 전념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대기 통제 집단보다 평가염려 완벽주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및 경험회피가 감소되었고, 자기효능감은 향상되었으며, 그 수준은 추적 검사까지 유지되었다.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on anger, problematic behavior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in school maladjustment
본 연구에서는 수용전념치료(ACT)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분노, 문제행동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전북지역 소재 대안학교 120명의 청소년에게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STAXI-K), 자아존중감 척도를 실시하였고, 대안 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문제행동 척도(K-CBCL)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학교부적응 학생 22명을 참가자로 선정하여 치료 집단에 11명, 통제집단에 11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수용전념치료(ACT) 프로그램은 주 2회씩 총 10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 검사가 실시되었고 10주 후 추적 검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분노, 문제행동이 감소되었고, 자아존중감은 향상되었으며, 그 수준은 추적 검사까지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on body image esteem, avoidance, and self-esteem of college women with negative body image
본 연구는 수용 전념 치료(ACT) 프로그램이 여자 대학생의 신체 상 존중감, 회피 대처전략,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사전 검사에서 신체 존중감 검사, 신체 만족 척도, 한국판 신체 상 대처 전략 척도(K-BICSI), 자아 존중감 척도를 실시하여, 신체 존중감 검사와 신체 만족 척도에서 하위 25%에 해당하고 높은 회피 대처 점수를 보이는 여자 대학생 18명을 선발하여 수용전념 치료 집단에 9명, 대기통제집단에 9명으로 무선할당 하였다. 그 후 치료집단에 대해 총 8회기에 걸쳐 수용전념 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 검사가 실시되었고 4주 후 추적 검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수용 전념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대기 통제 집단보다 신체 만족도와 자아 존중감이 증가하였고 회피 대처 전략이 감소하였으며 그 수준이 추적검사까지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Effects of Acceptance Commitment Group Therapy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on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수용전념 집단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우울, 경험회피 및 인지적 융합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수용전념치료는 6회기로 이루어졌는데, 치료집단에 12명, 대기통제 집단에 15명을 배정하여 사전, 사후, 추적조사로 반복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수용전념 치료집단은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심리적 안녕감이 유의하게 더 증가하였고, 우울과 인지적 융합은 유의하게 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험 회피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수용전념 집단치료는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의 증가와 우울의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 시사점 및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e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on anger, stress, and binge eating behavior of the binge eating disorder-prone college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수용-전념 집단 프로그램이 폭식장애 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분노, 스트레스 및 폭식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전북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의 400명 남녀 대학생들에게 폭식 척도, 정서적 섭식 척도, 스트레스 척도를 실시하여, 폭식척도에서 절단점 18점 이상이며, 정서적 섭식척도와 스트레스 척도를 통해 분노섭식이 우울섭식이나 불안섭식에 비해 높고 스트레스 점수가 높은 사람들을 선별하였다. 치료를 원치 않은 학생들과 치료 도중 탈락된 학생들을 제외하여 최종 선별된 14명의 참가자를 수용-전념치료집단에 7명, 대기통제집단에 7명씩 무선할당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참가자들에게 사전, 사후, 추적 검사에서 폭식 척도,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 및 스트레스 척도를 실시하였고, 수용-전념치료 집단에게 수용-전념 집단 프로그램을 총 8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The Effects of Acceptance vs. Repressive Treatment and Anxiety Sensitivity on the Changes of Anxiety Responses of College Students to the Hyperventilation Challenge
본 연구는 과잉호흡 도전절차에 의해 유도된 불안반응을 감소시키는데 있어 수용 대 억제처치의 효과를 검증하고, 이러한 효과가 불안민감성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지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개정된 불안민감성지표의 호흡계 감각 염려 차원 점수에 기초하여 불안민감성 고저집단에 각각 36명씩 총 72명의 대학생이 선별된 후, 각 집단별로 절반씩 수용처치 또는 억제처치조건에 무선할당 되었다. 참가자들은 각 처치조건별로 수용 또는 억제처치의 이론적 근거를 청취하였고, 각 처치 조건에 해당되는 실습단계와 과잉호흡 도전 절차를 거쳤다. 연구 결과, 주관적인 불안 평정치를 제외한 대부분의 종속 측정치들에서 억제처치보다 수용처치의 효과가 더 우수하였다. 불안반응이 주관적 평정치와 맥박으로 측정된 경우, 처치조건에 따른 불안반응 감소의 차이는 고 불안민감성 집단보다 저 불안민감성 집단에서 더 두드러졌다.
The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on life stress, state anxiety, and dermatological quality of life in adult atopic dermatitis pati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아토피 환자를 위한 수용-전념 집단 프로그램이 성인 아토피 피부염 환자들의 생활 스트레스, 상태 불안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J 지역 피부과 외래환자와 광고를 통해 201명의 성인 아토피 환자들을 대상으로, 생활 스트레스 척도, 상태 불안 척도 및 피부과적 삶의 질(Skindex-29) 척도를 실시하여, 각 척도에서 상위 20%에 해당되는 피험자들(생활 스트레스, 48; 상태불안, 41; 피부과적 삶의 질, 71)을 선별하였다. 총 20명의 피험자들 중 10명은 성인 아토피 환자를 위한 수용-전념 집단 프로그램에, 나머지 10명은 대기 통제 집단에 배정 하였다. 성인 아토피 환자를 위한 수용-전념 집단 프로그램은 총 11회기로 1주 2회기씩 진행되어 총 6주 동안 실시되었고 4주 뒤에 추적 검사를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