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d Process-Based Work: Treating Trauma and Other Challenging Life Events
Merwin, R.M., Nikolaou, P., Moskovich, A.A., Babyak, M., Smith, P.J. & Karekla, M. (2023). Change in body image flexibility and correspondence with outcomes in a digital early intervention for eating disorders based o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Body image flexibility (BIF) has been suggested as a transdiagnostic process of change in eating disorder (ED) interventions, but data remain sparse.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BIF and treatment effects 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aring a digital ACT-based intervention to a waitlist control for early ED intervention. Women and girls with elevated Weight Concern Scale (WCS) scores were randomized to either the ACT intervention or a waitlist control.
Effects of Tailored and ACT-Influenced Internet-Based CBT for Eating Disorders and the Relation Between Knowledge Acquisition and Outcom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is is the first trial to investigate the outcome of tailored and ACT-influenced, cognitive behavioral Internet treatment for eating disorder psychopathology, and the relation between knowledge acquisition and outcome.
Effects of Acceptance–Commitment Therapy (ACT) on binge eating behavior, experiential avoida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prone to binge eating disorder
수용 전념 치료 프로그램이 폭식장애 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폭식행동, 경험회피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J지역 내 대학생을 250명 남녀 학생들에게 폭식척도(BES), 수용행동질문지(AAQ-16), 심리적 안녕감 척도(PWBS)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폭식장애 경향이있는 대학생 14명을 참가자로 선정하여 치료 집단에 7명, 통제집단에 7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수용 전념 치료 프로그램은 주 2회씩 총 8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 조사가실시되었고 8주 후 추적 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수용 전념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통제집단보다 폭식행동과 경험회피가 유의하게 더 감소되었고, 심리적 안녕감은 유의하게 더 증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on anger, stress, and binge eating behavior of the binge eating disorder-prone college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수용-전념 집단 프로그램이 폭식장애 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분노, 스트레스 및 폭식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전북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의 400명 남녀 대학생들에게 폭식 척도, 정서적 섭식 척도, 스트레스 척도를 실시하여, 폭식척도에서 절단점 18점 이상이며, 정서적 섭식척도와 스트레스 척도를 통해 분노섭식이 우울섭식이나 불안섭식에 비해 높고 스트레스 점수가 높은 사람들을 선별하였다. 치료를 원치 않은 학생들과 치료 도중 탈락된 학생들을 제외하여 최종 선별된 14명의 참가자를 수용-전념치료집단에 7명, 대기통제집단에 7명씩 무선할당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참가자들에게 사전, 사후, 추적 검사에서 폭식 척도,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 및 스트레스 척도를 실시하였고, 수용-전념치료 집단에게 수용-전념 집단 프로그램을 총 8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ACT for Treating Children: The Essential Guide to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for Kids
A brief 6-10 session protocol. Clear, practical, and developmentally appropriate strategies to help children ages 5 to 12 learn effective coping skills, manage emotions, and bounce back from life's difficulties.
Strosahl, K.D. and Robinson, P.J. (2015).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pplication to the Treatment of Clinical Depression. In Treating Depression (eds A. Wells and P.L. Fisher).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is one of several new cognitive and behaviour therapies that are now being referred to as the ‘third wave’ of behaviour therapy. It seeks to promote acceptance of unwanted private experienc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various mindfulness strategies. This chapter tries to show the application of ACT treatment to the case of Gail, a 48-year-old woman with a long history of repeated episodes of depression.
Son, C.N. (전북대학교) (2015). 수용 전념 치료 (ACT)에서 관계 틀 관점으로 은유를 이해하고, 활용하고, 창조하기 [Understanding, Using, and Creating Metaphors from a Relational Frame Perspective i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수용 전념 치료 (ACT) 의 철학적 핵심은 모든 인간은 고통을 받는다는 것이다. ACT는 이론적으로 행동주의 원리와 행동주의 언어 이론인 관계 틀 이론에 근거하고 있다. ACT 모형은 언어 과정이 심리적 경직성의 핵심에 놓여 있으며, 그러므로 인간 고통의 근원이라고 가정한다. ACT는언어가 밝은 면과 어두운 면을 동시에 갖고 있는 양날의 검으로 본다. ACT의 목표는 피할 수 없는 고통을 수용함으로써 풍요롭고 의미있는 삶을 창조하는 것이다. 그래서 ACT의 목적은 현재순간에 접촉하며 깨어있으며 또한 가치를 두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러한 언어 과정을 약화시키는 것이다. ACT의 여섯 가지 핵심 치료 과정은 수용, 탈융합, 현재 순간의 자각, 맥락으로서의 자기, 가치 그리고 전념 행동이다. 심리치료에서 은유의 활용은 임상 문헌에서 주목을 받아왔다.
Nikolaou, P. A. (2017). ACT to prevent eating disorders : evaluation of the AcceptME digital gamified prevention program based o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Dissertation: Πανεπιστήμιο Κύπρου / University of Cyprus.
Οι διαταραχές πρόσληψης τροφής (Δ.Δ) αποτελούν ένα σοβαρό κοινωνικό πρόβλημα υγείας το οποίο κυρίως επηρεάζει γυναίκες και συνήθως εμφανίζεται στην εφηβεία ή στην αρχή της ενηλικίωσης (Grilo, 2004). Καθώς οι Δ.Δ συσχετίζονται με δυσμενής ιατρικές και ψυχολογικές επιπτώσεις, είναι ζωτικής σημασίας να επικεντρωθούμε στην ανάπτυξη επιτυχών προγραμμάτων πρόληψης.
Understanding, Using, and Creating Metaphors with Relational Frame Perspectives in Acceptance–Commitment Therap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전북대학교 (2015). 수용 전념 치료 (ACT)에서 관계 틀 관점으로 은유를 이해하고, 활용하고, 창조하기.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2), 371 - 389. [Son, C.N. (2015). Understanding, Using, and Creating Metaphors with Relational Frame Perspectives in Acceptance–Commitment Therap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2), 371 - 389.] DOI: 10.17315/kjhp.2015.20.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