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he Effects of Acceptance vs. Repressive Treatment and Anxiety Sensitivity on the Changes of Anxiety Responses of College Students to the Hyperventilation Challenge

APA Citation

No, H. & Cho, Y. (2010) The Effects of Acceptance vs. Repressive Treatment and Anxiety Sensitivity on the Changes of Anxiety Responses of College Students to the Hyperventilation Challeng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9(3), 799-819. https://doi.org/10.15842/kjcp.2010.29.3.009

Publication Topic
ACT: Empirical
Publication Type
Article
RCT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과잉호흡 도전절차에 의해 유도된 불안반응을 감소시키는데 있어 수용 대 억제처치의 효과를 검증하고, 이러한 효과가 불안민감성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지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개정된 불안민감성지표의 호흡계 감각 염려 차원 점수에 기초하여 불안민감성 고저집단에 각각 36명씩 총 72명의 대학생이 선별된 후, 각 집단별로 절반씩 수용처치 또는 억제처치조건에 무선할당 되었다. 참가자들은 각 처치조건별로 수용 또는 억제처치의 이론적 근거를 청취하였고, 각 처치 조건에 해당되는 실습단계와 과잉호흡 도전 절차를 거쳤다. 연구 결과, 주관적인 불안 평정치를 제외한 대부분의 종속 측정치들에서 억제처치보다 수용처치의 효과가 더 우수하였다. 불안반응이 주관적 평정치와 맥박으로 측정된 경우, 처치조건에 따른 불안반응 감소의 차이는 고 불안민감성 집단보다 저 불안민감성 집단에서 더 두드러졌다. 이에 대한 추가분석 결과, 처치조건 간 효과크기의 차이는 고 불안민감성 집단에 비해 저 불안민감성 집단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수용처치의 불안감소정도는 불안민감성 고저에 관계없이 비슷하게 우수하였는데 비해, 억제처치의 경우 고 불안민감성 집단이 저 불안민감성 집단보다 불안감소정도가 유의하게 더 컸다. 이러한 결과들은 비임상적인 대학생 표본들의 자발적인 과잉호흡에 의한 불안반응을 감소시키는데 있어 수용처치가 효과적인 방법임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연구 결과의 의의에 관해 논의하였다.

Comments
Anxiety in response to hyperventilation. Acceptance vs. suppression. N=72.